고교학점제와 대입, 2022 교육과정에 공부법

1. 고교학점제와 대입 (내신 vs 정시) 🔹 고교학점제란? 2025학년도 입학생(즉 지금 예비 고1부터)부터 전면 시행됩니다. 대학처럼 과목을 선택해서 일정 학점을 채우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필수 과목(공통과목)과 선택 과목을 조합해 이수해야 졸업이 가능합니다. 🔹 대학 입시에 어떤 변화가 있나? 내신 반영 방식이 변형…
고교학점제와 대입, 2022 교육과정에 공부법

고교학점제와 대입, 2022 교육과정에 공부법

고교학점제


1. 고교학점제와 대입 (내신 vs 정시)

🔹 고교학점제란?

  • 2025학년도 입학생(즉 지금 예비 고1부터)부터 전면 시행됩니다.

  • 대학처럼 과목을 선택해서 일정 학점을 채우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 필수 과목(공통과목)과 선택 과목을 조합해 이수해야 졸업이 가능합니다.

🔹 대학 입시에 어떤 변화가 있나?

  • 내신 반영 방식이 변형됩니다. 예전처럼 단순 석차(등수)만 보는 게 아니라 절대평가(A~E) 방식으로 기록됩니다.

  • 하지만 대학은 여전히 내신(학생부 교과/종합)과 정시(수능)를 함께 반영합니다.

  • 즉, "고교학점제 시대라고 해서 오직 정시만으로 대학 간다"는 건 사실이 아닙니다.

  • 다만 절대평가로 바뀌면 내신 변별력이 약해져 정시(수능)의 중요성이 지금보다 더 커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 결론: 정시만 챙겨서는 위험하고, 내신도 일정 수준 이상 챙겨야 안전합니다. 특히 인서울 대학은 대부분 수능 + 학생부를 복합적으로 보므로 내신이 완전히 무의미하지는 않습니다.



2. 국영수 공부법 (기초부터 다시 시작할 때)

지금까지 공부를 놓았다고 해도, 지금부터 시작하면 충분히 따라잡을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기초를 다시 다지는 거예요.

✅ 국어

  • 독해력부터: EBSi 무료 강의(중학 국어 기본, 고1 문학/비문학 입문 강좌) → 짧은 글 요약하기 습관

  • 어휘: 하루 10~20개 단어(특히 한자어, 시·소설 어휘) 암기

  • 비문학 독해 훈련: 신문 사설, 과학/사회 글을 읽고 글의 주장·근거 찾기

✅ 영어

  • 단어: 수능 필수 2000~3000개 단어 암기(‘수능영단어 어플’ 활용)

  • 문법: 기초 문법(시제, to부정사/동명사, 관계사)부터

  • 듣기·읽기: 하루 30분 꾸준히 → 짧은 지문 해석 연습

  • 초반에는 ‘EBS 중학영문법’, ‘수능기초 영단어’부터 시작하는 게 좋아요.

✅ 수학

  • 개념 복습: 중학교 개념 교재(개념원리, 쎈 개념쎈 등)로 빠진 부분 메꾸기

  • 유형 익히기: 문제는 많이 푸는 것보다 ‘틀린 문제 오답 정리’가 중요

  • 일일 루틴: 하루 최소 10문제라도 → 풀이 과정 설명 가능할 때까지 반복

  • 추천 루트: 중학 수학 기초 → 고1 수학(상, 하) → 개념원리/교과서 → 기출

👉 핵심은 기초 교재를 절대 건너뛰지 않고 순서대로 밟는 것이에요.
지금은 남들보다 늦은 게 아니라, 오히려 ‘기초부터 다시 시작할 기회’가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3. 인서울 가능성 (광운대 이상 목표)

  • 일반고 내신 가능 → 고교 내신이 완전히 망가지지는 않을 거라는 뜻이죠.

  • 하지만 인서울 대학은 대부분 수능 최저/정시 경쟁이 매우 치열합니다.

  • 광운대 이상(중위권 인서울 대학: 숭실대, 국민대, 세종대, 단국대 죽전캠, 홍익대 등)을 목표로 한다면,

    • 수능 중심으로 전략 + 내신은 적당히 관리하는 것이 현실적입니다.

  • 지금 고1부터 3년간 꾸준히 하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습니다.

👉 단, 지금처럼 국영수 기초가 약하다면 고1~고2까지는 기초 다지기에 올인하고, 고3에서 정시 파이널로 치고 올라가는 전략이 좋아요.



4. 마무리 조언

  1. 정시만 믿지 말고, 내신도 일정 수준 챙기자. (최소 3등급대 이상 유지)

  2. 국영수 기초부터 다시 시작. (특히 수학·영어는 매일 조금씩)

  3. 학원·과외 없어도 온라인 강의 + 교재로 충분히 가능.

  4. 광운대 이상 인서울 대학은 충분히 도전 가능. 다만 꾸준함이 필수입니다.


이전최근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