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 항공권 무료 언제까지? 유아 항공권 기준 총정리!
아기 항공권 무료 언제까지? 유아 항공권 기준 총정리!
아기가 태어나고 나면
‘비행기 탈 수 있을까?’, ‘언제까지 항공권이 무료일까?’
궁금해지는 시기가 꼭 오죠.
특히 가족 여행을 계획할 때, 아기가 아직 2살이 안 됐다면 항공권 무료 또는 유아 요금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어서 여행 비용을 꽤 절약할 수 있답니다!
오늘은 국내선과 국제선 기준으로 아기 항공권이 무료인 시기를 항공사별로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
👶 아기 항공권 무료 기준은?
아기(유아, Infant) 항공권은 항공사마다 약간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만 2세 미만(24개월 미만)”을 기준으로 합니다.
즉, 탑승일 기준으로 만 2세가 되지 않은 아기는 보호자의 무릎에 앉혀서 탑승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무료 또는 성인 요금의 10%만 지불하면 됩니다.
💡 포인트
“생일이 지난 시점” 기준이라서, 여행 중에 2살이 되는 경우엔 돌아올 때는 유아가 아닌 아동 요금으로 적용돼요.
아기를 위한 별도 좌석을 구매하지 않을 때만 무료 또는 유아 요금이 적용됩니다.
📋 항공사별 아기 항공권 요금 비교표
| 항공사 | 적용 기준 | 국내선 요금 | 국제선 요금 | 비고 |
|---|---|---|---|---|
| 대한항공 | 만 2세 미만 | 무료 | 성인 운임의 10% + 세금, 유류할증료 | 좌석 없음 |
| 아시아나항공 | 만 2세 미만 | 무료 | 성인 운임의 10% + 세금, 유류할증료 | 좌석 없음 |
| 제주항공 | 만 2세 미만 | 유아 운임 약 5,000원 | 성인 운임의 10% | 좌석 없음 |
| 진에어 | 만 2세 미만 | 유아 운임 약 7,000원 | 성인 운임의 10% | 좌석 없음 |
| 티웨이항공 | 만 2세 미만 | 유아 운임 약 6,000원 | 성인 운임의 10% | 좌석 없음 |
| 에어부산 | 만 2세 미만 | 무료 또는 유아 운임 | 성인 운임의 10% | 노선별 상이 |
✈️ 국내선은 대부분 무료 또는 소액 유아 운임,
국제선은 성인 요금의 약 10% 수준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 유아 항공권 예매 시 주의할 점
-
탑승일 기준으로 나이 계산하기
예를 들어 2023년 5월 10일생이라면, 2025년 5월 9일까지는 ‘만 2세 미만’으로 유아 요금 적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5월 10일 이후 비행이라면 아동 요금(Child Fare) 이 적용돼요. -
좌석을 따로 구매할 경우 유료 전환
보호자 무릎에 앉히는 것이 기본 원칙이에요.
하지만 장거리 노선이라면 아기가 불편할 수 있으니 유아용 좌석(카시트 포함)을 구매하는 것도 고려해보세요. 이때는 아동 요금으로 예매됩니다. -
유아용 장비 사전 요청 필수
대부분의 항공사는 유아용 요람(bassinet), 유아 안전벨트, 기저귀 교환대 등을
사전 요청 시 준비해줍니다.
특히 대한항공·아시아나의 경우 좌석 앞 벽면 요람 설치석을 지정할 수 있어요. -
항공사별 규정 다름
저가항공(LCC)은 수하물, 요람 서비스, 유아 물품 제공이 제한될 수 있어 여행 전 꼭 홈페이지나 고객센터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유아와 함께하는 비행 꿀팁
-
기내 수유/이유식은 이륙·착륙 타이밍에 맞춰 아기의 귀 통증 완화에 도움이 돼요.
-
기내 좌석은 앞쪽 창가 또는 통로 쪽이 편리합니다.
유아 요람 설치석은 대부분 앞쪽 벽(1열~2열) 근처예요. -
여행 준비물: 기저귀, 물티슈, 여분 옷, 이유식, 수유용품, 작은 장난감 필수!
🧳 마무리하며
아기와의 첫 비행은 걱정도 많지만,
미리 항공사별 규정을 알고 준비하면 훨씬 여유로운 여행이 될 수 있어요
요약하자면,
✈️ 탑승일 기준 만 2세 미만 아기는 무료 또는 유아 요금(성인 요금의 10%)
좌석 없이 보호자 무릎에 앉는 조건이 적용됩니다.

댓글 쓰기